'yong's'에 해당되는 글 154건

  1. 2010.02.05 디자인패턴 마인드!
  2. 2010.02.04 ASyncSelect 예제 1
  3. 2010.02.03 간단한 DLL 예제 1
  4. 2010.02.03 리스트뷰
  5. 2010.02.02 WM_USER And WM_APP
  6. 2010.02.02 레지스트리
  7. 2010.02.02 소켓통신의 라이브러리 사용 선택 시 고려사항
  8. 2010.01.28 o/s의 role
  9. 2010.01.25 소켓함수 예제(로그인서버)
  10. 2010.01.25 파일매핑예제

디자인패턴 정형화된 생각을 하지 말자.

GOF 디자인패턴 - 주관적인 생각
Posted by 아몰라

쪽지보내기

#pragma comment(lib,"Dll")
#include "Packet.h"
#include "resource.h"

#define WM_RECV (WM_APP+1)
#define WM_SEND (WM_APP+2)

#define MYIP "192.168.34.103"
#define MYPORT 1000

#define YOURIP "192.168.34.102"
#define YOURPORT 1000


char str[256];


BOOL CALLBACK DlgProc(HWND hDlg, UINT iMessage, WPARAM wParam, LPARAM lParam);

INT WINAPI WinMain(HINSTANCE hInstance, HINSTANCE hPrevInstance, LPSTR lpCmdLine, int nShowCmd)
{
 WSADATA wsadata;
 WSAStartup(MAKEWORD(2,0),&wsadata);

 DialogBox(hInstance, MAKEINTRESOURCE(IDD_DIALOG1), 0, DlgProc);
 
 WSACleanup();
 return 0;
}

 

BOOL OnInit(HWND hDlg);
BOOL OnCommand(HWND hDlg, WORD cid, WORD cmsg, HWND cWnd);
BOOL OnSend(HWND hDlg, SOCKET sock, WORD msg, WORD eid);
BOOL OnRecv(HWND hDlg, SOCKET sock, WORD msg, WORD eid);
void SendStart(HWND hDlg);

 

BOOL CALLBACK DlgProc(HWND hDlg, UINT iMessage, WPARAM wParam, LPARAM lParam)
{
 switch(iMessage)
 {
 case WM_INITDIALOG: return OnInit(hDlg);

 case WM_COMMAND: return OnCommand(hDlg, LOWORD(wParam), HIWORD(wParam), (HWND)lParam);

 case WM_SEND: return OnSend(hDlg, (SOCKET)wParam,  LOWORD(lParam),  HIWORD(lParam));

 case WM_RECV: return OnRecv(hDlg, (SOCKET)wParam,  LOWORD(lParam),  HIWORD(lParam));
 }

 return FALSE;
}

 

BOOL OnInit(HWND hDlg)
{
 SOCKET sock = socket(AF_INET,SOCK_STREAM,IPPROTO_TCP);

 SOCKADDR_IN servaddr={0,};
 servaddr.sin_addr.s_addr = inet_addr(MYIP);
 servaddr.sin_port = htons(MYPORT);
 servaddr.sin_family = PF_INET;

 bind(sock,(SOCKADDR *)&servaddr,sizeof(servaddr));

 listen(sock,5);

 WSAAsyncSelect(sock,hDlg,WM_RECV,FD_ACCEPT|FD_CLOSE);
//sock에 accept준비가 되거나 closesocket을 해야 할 상태가 오면
//hDlg윈도우에 WM_RECV 메시지를 보내 주세요.

 return TRUE;

 


BOOL OnCommand(HWND hDlg, WORD cid, WORD cmsg, HWND cWnd)
{
 

 switch(cid)
 {
 case IDOK:
  GetDlgItemText(hDlg, IDC_EDIT1, str , 256);
  SendStart(hDlg);
  
  break;
 case IDCANCEL: EndDialog(hDlg, IDCANCEL);
 break;
 }

 return TRUE;
}


void SendStart(HWND hDlg)
{
 SOCKET sock = socket(AF_INET,SOCK_STREAM,IPPROTO_TCP);

 SOCKADDR_IN servaddr={0,};
 servaddr.sin_addr.s_addr = inet_addr(YOURIP);
 servaddr.sin_port = htons(YOURPORT);
 servaddr.sin_family = PF_INET;

 WSAAsyncSelect(sock,hDlg,WM_SEND,FD_CONNECT);
 connect(sock,(SOCKADDR *)&servaddr,sizeof(servaddr));

//WSAAsyncSelect 함수가 호출되고 나서, 접속요청 작업의 완료가 있었던 경우.
//connect 함수가 호출되고 난 후에 접속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.

}


void OnConnect(HWND hDlg, SOCKET sock, WORD eid);
void OnWrite(HWND hDlg, SOCKET sock, WORD eid);
void OnClose2(HWND hDlg,SOCKET sock,WORD eid);

 

BOOL OnSend(HWND hDlg, SOCKET sock, WORD msg, WORD eid)
{
 switch(msg)
 {
 case FD_CONNECT: OnConnect(hDlg, sock, eid); break;
 case FD_WRITE:  OnWrite(hDlg, sock, eid); break;
 case FD_CLOSE:  OnClose2(hDlg, sock, eid); break;
 }
 return TRUE;
}


void OnConnect(HWND hDlg, SOCKET sock, WORD eid)
{
 WSAAsyncSelect(sock,hDlg,WM_SEND,FD_WRITE);
// connect 나  accept 함수가 호출되고 나서, 접속이 완료 되었을 때
}


void OnWrite(HWND hDlg, SOCKET sock, WORD eid)
{
 int slen = strlen(str);

 MsgHead msg(0);
 int bodylen = sizeof(slen) + slen;
 msg.SetBlen(bodylen);
 Packet *pack = new Packet();
 pack->Pack(&msg, sizeof(MsgHead));
 pack->Pack(&slen, sizeof(int));
 pack->Pack(str, slen);
 pack->Send(sock);
 
 WSAAsyncSelect(sock,hDlg,WM_SEND,FD_CLOSE);
}


void OnClose2(HWND hDlg,SOCKET sock,WORD eid)
{
 DWORD nrecv;
 if(ioctlsocket(sock,FIONREAD,&nrecv)==0)
 {
  if(nrecv)
  {
   PostMessage(hDlg,WM_SEND,sock,(eid>>16)|FD_CLOSE);
  }
  else
  {
   closesocket(sock);
  }
 }
}

 

 /중요/

 //send는 수신측이 recv를 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수신버퍼가 꽉차지 않으면 수행이 완료 됩니다.
 //FD_READ는 수신 버퍼에 수신 데이터가 있게 되면 발생하는 것인데 동시 1개 이상 발행하지 않게 됩니다.
 //또한 FD_READ발생시 recv를 send한번에 보낸 만큼만 받게 되는데 이후 아직 수신한 데이터가 있으면 다시 FD_READ는 발생합니다.
 //결론적으로 송신측에서 수신측이 모든 recv를 수행하지 않은 시점(데이터는 다 보냈지만)에 closesocket을 하게 되며
 //이런 경우에 FD_CLOSE가 발생을 하면 수신 버퍼에 아직 recv하지 않은 것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.

 //ioctlsocket메소드에서 두번째 인자를 FIONREAD를 주고 세번째 인자에 ULONG타입이 변수의 주소를 주면
 //세번째 인자로 넘긴 주소에 아직 처리되지 않은 수신 버퍼에 있는 데이터의 사이즈를 알 수 있습니다.
 //이들에 대한 처리보다 closesocket이 먼저 이루어지면 안 되기 때문에 메시지 큐에 FD_CLOSE를 다시 발생 시켜줌으로써
 //(현재 상황은 수신할 데이터가 있기 때문에 FD_READ에 관련 메시지가 메시지 큐에 있는데 FD_CLOSE가 먼저 수행된 것)
 //먼저 FD_READ를 수행하게 되고 다시 남은 것이 있으면 당연히 FD_READ가 내부적으로 메시지 큐에 있게 될 것입니다.
 //물론 현재 상황은 다시 FD_CLOSE 가 먼저겠지요.
 //이를 반복하다보면 결국은 수신할 데이터가 없게 되고
 //closesocket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기가 오게 되는 것입니다.

void OnAccept(HWND hDlg, SOCKET sock, WORD eid);
void OnRead(HWND hDlg, SOCKET sock, WORD eid);


BOOL OnRecv(HWND hDlg, SOCKET sock, WORD msg, WORD eid)
{

 switch(msg)
 {
 case FD_ACCEPT: OnAccept(hDlg, sock, eid); break;
 case FD_READ: OnRead(hDlg, sock, eid); break;
 case FD_CLOSE: OnClose2(hDlg, sock, eid); break;
 }
 return TRUE;
}


void OnAccept(HWND hDlg, SOCKET sock, WORD eid)
{
 SOCKADDR_IN cliaddr = {0, };
 int len = sizeof(cliaddr);
 SOCKET dosock;

 dosock = accept(sock, (SOCKADDR*)&cliaddr, &len);
 WSAAsyncSelect(dosock, hDlg, WM_RECV, FD_READ|FD_CLOSE);

//Read
//WSAAsyncSelect 함수가 호출 되고나서, 수신할수 있는 데이터가 있을 때
//데이터가 로컬 호스트로 도착하고, FD_READ 가 아직 포스팅되지 않았을 때

//Close
Note : closesocket 함수를 호출하고 난 후에 FD_CLOSE 메시지는 포스팅 되지 않습니다.

}


void OnRead(HWND hDlg, SOCKET sock, WORD eid)
{
 int len;
 char r_str[256];
 
 memset(r_str,0, 256);

 MsgHead msg;

 if(recv(sock,(char *)&msg,sizeof(MsgHead),0)<=0)  //recv시 false 값에대한 예외처리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//안할경우 수신버퍼에 데이터가 남아있어서 OnRead가 또 실행될수있다.
{
  return;
 }
 
 Packet *pack = new Packet(sock, msg.Getblen());
 
 pack->UnPack(&len, sizeof(len));
 pack->UnPack(r_str, len);
 
 
 MessageBox(hDlg, r_str , "", MB_OK);
 
 //WSAAsyncSelect(sock, hDlg, WM_RECV, FD_CLOSE); 받을 때는 Close를 해주지 않는다.
}

Posted by 아몰라

 


사칙연산 예제

Dll 헤더파일

#ifndef __CAL_H
#define __CAL_H

#include <windows.h>

#ifdef DLLEXPORT
#define DLLTYPE __declspec(dllexport)
#define DLLTYPE2 extern "C" __declspec(dllexport)
#else
#define DLLTYPE __declspec(dllimport)
#define DLLTYPE2 extern "C" __declspec(dllimport)
#endif

class DLLTYPE Cal
{
 public:
 int Calplus(int Num1, int Num2);
 int Cal::CalMinus(int Num1, int Num2);
 int Cal::CalMul(int Num1, int Num2);
 int Cal::CalDiv(int Num1, int Num2);
 
};
#endif __CAL_H





DLL CPP파일

#define DLLEXPORT
#include "Cal.h"

int Cal::Calplus(int Num1, int Num2)
{
 return (Num1 + Num2);
}

int Cal::CalMinus(int Num1, int Num2)
{
 return (Num1 - Num2);
}

int Cal::CalMul(int Num1, int Num2)
{
 return (Num1 * Num2);
}

int Cal::CalDiv(int Num1, int Num2)
{
 return (Num1 / Num2);
}


#define DLLEXPORT을 선언하였다. 헤더파일에도 정의되어있기때문에 조건문에서 export로 되어서 수출하게된다.


사용파일

#pragma comment(lib, "Dll연습")
#include "Cal.h"
#include <stdio.h>
void main()
{
 Cal cal;
 
 cal.Calplus(2,4);
 
 printf("result = %d\n", cal.Calplus(2,4));
 printf("result = %d\n", cal.CalMinus(2,4));
 printf("result = %d\n", cal.CalMul(2,4));
 printf("result = %d\n", cal.CalDiv(2,4));

}



여기서는 Cal.h 를 인클루드만해서 쓰게 됨으로 DLLEXPORT가 중복이 안되서 조건문에서 import로 빠지게된다.
즉, 사용하겠다는 뜻이다.

'API & MFC > API & 시스템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프로세스  (0) 2010.02.10
ATOM  (0) 2010.02.09
리스트뷰  (0) 2010.02.03
WM_USER And WM_APP  (0) 2010.02.02
레지스트리  (0) 2010.02.02
Posted by 아몰라

리스트뷰 -  ListBox가 발전된 형태로  좀 더 깔끔하고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.




리스트뷰 함수정리

ListView_GetItemCount()  :  등록된 항목의 개수

ListView_InsertItem()  :  새 항목 등록

ListView_SetItem()  :  항목의 정보를 변경(이미지 등)

ListView_SetItemText()  :  항목의 문자열을 변경

ListView_DeleteItem()  :  지정한 항목을 삭제

ListView_DeleteAllItems()  :  전체 항목을 삭제

ListView_GetItemText()  :  지정한 항목의 문자열을 얻어옴

ListView_GetNextItem()  :  옵션에 해당하는 항목의 인덱스 반환

ListView_FindItem()  :  제시한 조건과 일치하는 항목의 인덱스 반환

ListView_SetItemState()  :  지정한 항목의 상태 변경(포커스 등)





LVCOLUMN 구조체  -  LVCOLUMN 구조체에 헤더의 정보를 채운 뒤 LVM_INSERTCOLUMN 메시지 전송

Typedef struct_LVCOLUMN{
UINT mask;  :사용될 멤버 값 설정
int fmt;  :문자열의 정렬방법과 이미지 사용여부
int cx;  :헤더의 폭
LPTSTR pszText;  :보여질 문자열
int cchTextMax;  :문자열의 크기
int iSubItem;  :연결될 항목
#if(_WIN32_IE>=0x0300)  :IE의 버전(구 버전 이미지 사용불가)
int iImage;  :보여질 이미지
int iOrder;  :헤더의 순서
#endif
}LVCOLUMN,FAR*LPLVCOLUMN;



LVITEM 구조체 -  LVITEM 구조체에 항 정보를 채운 뒤 LVM_INSERTITEM  메시지 전송

Typedef struct_LVITEM{
UINT mask;  :사용될 멤버 값 설정
int iItem;  :항목의 Index설정
int iSubItem;  :항목의 Colum Index설정
UINT state;  :항목의 상태(focus, 선택 등)
UINT stateMask;  :상태를 설정
LPTSTR pszText;  :문자열(실제 내용)
int cchTextMax;  :문자열 길이
int iImage;  :왼쪽에 보여질 이미지의 인덱스
LPARAM lParam;  :항목의 추가 저장공간
#if(_WIN32_IE>=0x0300)  : IE의 버전(구 버전 들여쓰기 사용불가)
int iIndent;  :들여쓰기
#endif
}LVCOLUMN,FAR*LPLVCOLUMN;


 
LVFINDINFO 구조체 - LVFINDINFO 구조체에 검색할 정보를 채운 뒤 LVM_FINDITEM 메시지 전송

typedef struct tagLVFINDINFOW {
UINT flags;  :
검색 형태를 지정하는 옵션
LPCWSTR psz;  :검색할 문자열
LPARAM lParam;  :검색할 32bit Data
POINT pt;  :검색할 좌표값
UINT vkDirection;  :검색할 방향
} LVFINDINFOW, FAR* LPFINDINFOW;




#include <windows.h>
#include <commctrl.h>
#define IDC_LISTVIEW 150
#define LVIF_TEXT 151


LVCOLUMN COL; //열 구조체
LVITEM LI;          //항목 구조체
HWND hList;


void OnInitCOL(HWND hWnd)
{
 hList = CreateWindow(WC_LISTVIEW,NULL, WS_CHILD | WS_VISIBLE | WS_BORDER | LVS_REPORT, 150,18,240,60,hWnd,(HMENU)IDC_LISTVIEW,0,0);
 ListView_SetExtendedListViewStyle(hList,LVS_EX_FULLROWSELECT|LVS_EX_GRIDLINES);
//리스트뷰 스타일 초기화

 COL.mask = LVCF_FMT | LVCF_WIDTH | LVCF_TEXT | LVCF_SUBITEM;
 COL.fmt = LVCFMT_LEFT;
 
 COL.cx=80;
 COL.pszText="가";   
 COL.iSubItem=0;
 ListView_InsertColumn(hList,0,&COL);   

//첫번째 : 해당 리스트 핸들
//두번째 : 몇번째 열인지
//세번째 : 해당 열의 초기화상태
 
 COL.cx=80;
 COL.pszText="나";   
 COL.iSubItem=1;
 ListView_InsertColumn(hList,1,&COL);
 
 COL.cx=80;
 COL.pszText="다";  
 COL.iSubItem=2;
 ListView_InsertColumn(hList,2,&COL);
}


void OnInitITEM()
{
 LI.mask = LVIF_TEXT;
 LI.iItem = 1;         //행 (전체 화면 - 캡션포함)
 LI.iSubItem = 0;    //열
 LI.pszText = "1";  //문자열 값
 ListView_InsertItem(hList, &LI);
//초기화된 항목구조체 정보를 토대로 해당리스트에 삽입 

 ListView_SetItemText(hList, 0, 1, "2"); 
//첫번째: 해당 리스트 핸들
//두번째 : 행 (캡션 미 포함)
//세번째 : 열
//네번째 : 값
 ListView_SetItemText(hList, 0, 2, "3");
 
  
 LI.iItem = 2;
 LI.pszText = "4";
 ListView_InsertItem(hList, &LI);

 ListView_SetItemText(hList, 1, 1, "5");
 ListView_SetItemText(hList, 1, 2, "6");
 
 LI.iItem = 3;
 LI.pszText = "7";
 ListView_InsertItem(hList, &LI);

 ListView_SetItemText(hList, 2, 1, "8");
 ListView_SetItemText(hList, 2, 2, "9");
}



결과



'API & MFC > API & 시스템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TOM  (0) 2010.02.09
간단한 DLL 예제  (1) 2010.02.03
WM_USER And WM_APP  (0) 2010.02.02
레지스트리  (0) 2010.02.02
o/s의 role  (0) 2010.01.28
Posted by 아몰라
윈도우 시스템은, 메시지구동 시스템으로 모든 이벤트는 메세지의 발생에 의해서 처리된다.


#define MY_USER 1000 
이렇게 선언할 경우 이미 1000이라는 값은 시스템이 내부적으로 예약해서 사용하는 상수일 수 있다.
그래서 이러한 현상을 막는 방법으로 WM_USER와 같은 사용자가 정의 할 수 있는 상수공간을 마련해두었다.


설명 - 이 메시지는 실제로 정의되어 있는 시스템 메시지가 아니며 사용자 정의 메시지의 시작 범위를 지정하는 상수값이다. 메시지는 정수값 하나로 표현되는데 윈도우즈는 메시지의 범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.



<범위 설명>

0~WM_USER-1
운영체제가 정의하는 시스템 메시지. WM_PAINT, WM_TIMER 등의 메시지들이 모두 이 범위에 속한다.

WM_USER~WM_APP-1
윈도우 클래스가 정의하는 사용자 정의 메시지
WM_APP~0xBFFF
응용 프로그램이 정의하는 사용자 정의 메시지

0xC000~0XFFFF
문자열로 등록되는 메시지

0x10000~ 이후의 사용을 위해 예약된 영역이며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.


WM_USER

WM_USER는 한 윈도우 클래스를 위한 고유의 메시지를 정의하기 위한 상수값이며 이 범위 이후부터 윈도우 클래스의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만들 수 있다. 이 값은 0x400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보통 WM_USER+n으로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정의한다. 이때 n은 1보다 큰 정수이며 사용자 정의 메시지간의 구분을 위해 사용된다. 여러 개의 사용자 정의 메시지가 필요하다면 WM_USER+1, WM_USER+2, WM_USER+3,... 식으로 계속 n을 증가시켜 가며 메시지를 정의할 수 있다. 윈도우즈는 WM_USER이후 0x8000까지 사용자 정의 메시지 영역으로 정의하고 있으므로 n은 최대 0x7c00까지 가능하다. WM_USER+n을 곧바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자주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이 매크로를 정의하여 별도의 메시지를 만들 수 있다.

#define WM_MYMESSAGE WM_USER+1

이렇게 매크로를 정의해 놓고 이후부터 WM_MYMESSAGE라는 명칭을 대신 사용하면 된다.

주의
- 표준 컨트롤 중 일부는 자신만의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정의하여 사용하고 있다. 따라서 WM_USER+n은 가급적이면 한 윈도우 클래스내에서만 정의하여 사용해야 하며 응용 프로그램간의 통신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.
- 표준 컨트롤을 서브클래싱했을 경우 함부로 WM_USER+n을 사용하면 표준 컨트롤 고유의 메시지와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.



예제
 
다음 예제는 사용자 정의 메시지로 윈도우를 이동시킨다.

LRESULT CALLBACK WndProc(HWND hWnd,UINT iMessage,WPARAM wParam,LPARAM lParam)
{
        HDC hdc;
        PAINTSTRUCT ps;
        RECT wrt;
        TCHAR Mes[]="왼쪽 마우스 버튼을 누르면 이동합니다";

        switch(iMessage) {
        case WM_USER+1: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GetWindowRect(hWnd,&wrt);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wrt.left+=wParam;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wrt.right+=wParam;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wrt.top+=lParam;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wrt.bottom+=lParam;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MoveWindow(hWnd,wrt.left,wrt.top,wrt.right-wrt.left,wrt.bottom-wrt.top,TRUE);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return 0;
        case WM_LBUTTONDOWN: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SendMessage(hWnd,WM_USER+1,(WPARAM)-3,(LPARAM)5);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return 0;
        case WM_PAINT: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hdc=BeginPaint(hWnd, &ps);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TextOut(hdc,10,10,Mes,lstrlen(Mes));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EndPaint(hWnd, &ps);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return 0;
        case WM_DESTROY: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PostQuitMessage(0);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return 0;
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return(DefWindowProc(hWnd,iMessage,wParam,lParam));
}

이 예제에서 WM_USER+1은 윈도우를 이동하라는 뜻이며 wParam은 수평 이동 거리, lParam은 수직 이동 거리로 정의하였다. WM_USER+1을 받으면 이 인수들이 지정하는 거리만큼 윈도우를 이동시킨다.

WM_APP

#define WM_MYMESSAGE WM_APP+1

이렇게 매크로를 정의해 놓고 이후부터 WM_MYMESSAGE라는 명칭을 대신 사용하면 된다. WM_USER도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정의하는 용도로 사용되지만 표준 컨트롤중에 이미 WM_USER를 사용하는 컨트롤이 있으므로 중복될 위험성이 있다. 반면 WM_APP는 시스템이 전혀 이 영역을 사용하지 않고 있으므로 중복될 위험이 전혀 없으며 응용 프로그램간의 통신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. 두 응용 프로그램의 약속에 의해 WM_APP+n 메시지를 정의하여 사용하면 된다.

WM_USER는 윈도우 클래스를 위한 사용자 정의 메시지이며 WM_APP는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사용자 정의 메시지라는 점이 다르다. 그러나 이 구분은 어디까지나 권장 사항일 뿐이지 강제 사항은 아니다. WM_USER를 응용 프로그램간의 통신에 사용하더라도 충돌이 없다는 확신만 있다면 가능하다. 다만 잠재적인 충돌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는 않다.

정리

이런 상황을 고려해 보자. MyApp에서 Con1이라는 커스텀 컨트롤을 사용하는데 이 컨트롤은 자신에게 변화가 있을 때 WM_USER+1이라는 통지 메시지를 부모 윈도우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. 이런 상황에서 MyApp가 자신의 고유 용도로 WM_USER+1을 다시 정의한다면 메시지간의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. 이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운영체제는 WM_USER를 내부적인 용도로 WM_APP를 응용 프로그램간의 통신에 사용하도록 권장하는 것이다. 하지만 WM_APP도 여전히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좀 더 안전한 방법으로 메시지를 정의하고자 한다면 RegisterWindowMessage 함수로 문자열 메시지를 등록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.


 

리턴값의 의미는 정해져 있다. 응용 프로그램이 의미를 정해서 사용할 수 있다. 이 메시지로 어떤 질문을 하고자할 때는 리턴값을 정의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는 통상 리턴값을 사용하지 않는다.



출처 http://www.winapi.co.kr/reference/Message/WM_USER.htm


'API & MFC > API & 시스템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간단한 DLL 예제  (1) 2010.02.03
리스트뷰  (0) 2010.02.03
레지스트리  (0) 2010.02.02
o/s의 role  (0) 2010.01.28
파일매핑예제  (0) 2010.01.25
Posted by 아몰라

정보의 저장

¢  프로그램은 실행 중에 사용자가 입력한 옵션 설정이나 프로그램 스스로 만들어낸 정보들을 다음 실행을 위해 그 정보를 저장 해두어야 한다.

¢  이런 정보는 사용자의 정보가 아니라 프로그램 자신의 정보이다

¢  프로그램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에는 INI파일을 쓰는 방법과 레지스트리를 쓰는 방법이 있다.



레지스트리의 특징

¢  윈도우의 환경설정에 대한 모든 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되고 있는 Windows의 핵심적인 데이터베이스이다.

¢  다중 환경설정을 저장할 수 있다.

¢  INI 파일과 달리 크기가 64KB를 초과할 수 있다.

¢  INI 파일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.

¢  백업 및 복구가 간단하다.

 

레지스트리의 구조

 

¢  레지스트리는 디렉토리 구조와 유사한 계층적 구조로 구성

¢  각각의 가지(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폴더 아이콘으로 표시되는)는 키라고 부르며, 각각의 키는 하위키를  포함할 수 있으며, 각각의 키는 값을 포함할 수 있다.

¢  이 값에 레지스트리에 저장되는 실제 정보가 저장됨



함수정리

레지스트리 키 생성 함수

LONG RegCreateKeyEx(HKEY hKey, LPCTSTR lpSubKey, DWORD Reserved,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LPTSTR lpClass, DWORD dwOptions, REGSAM Desired, LPSECURITY_ATTRIBUTES lpSecurity, PHKEY hkResult, LPDWORD lpdwDisposition);


hKey :
새로 만들어지는 부모키 지정

     - HKEY_CLASSES_ROOT :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OLE정보와 모든 파일유형 정보 저장

     - HKEY_CURRENT_USER :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를 위한 정보 저장

     - HKEY_LOCAL_MACHINE : 컴퓨터에 설치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모든 정보 저장

     - HKEY_USERS :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용자 각각에 대한 속성을 저장

     - HKEY_CURRENT_CONFIG : 현재 하드웨어의 설정을 저장


lpSubKey : 만들고자 하는 서브키를 지정하는 널 종료 문자열로 반드시 지정해야 함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hKey 서브에 여기서 지정한 키가 생성됨.

Reserved : 예약된 인수, 0으로 지정

lpClass : 생성되는 키의 클래스를 지정하는 문자열

dwOptions : 생성하는 키의 옵션

   - REG_OPTION_NON_VOLATILE : 레지스트리에 저장되는 정보는 파일에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영구 저장되므로 재부팅해도 정보 유지

samDesired : 보안속성

   - KEY_ALL_ACCESS : 읽기, 쓰기 할 때 사용

   - KEY_WRITE : 쓰기,  KEY_READ : 읽기

lpSecurityAttribute : 생성된 키값이 상속될 것인가 지정하는 인수, NULL이면 상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속되지 않음


phkResult  : 만들어지거나 열려진 키값이 대입되는 변수 포인터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여기에 HKEY구조체 변수를 대입

lpdwDisposition : 키가 새로 생성되었는지 기존의 키가 오픈된 것인지 리턴받기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위한 출력용 변수


열려진 키에 값을 저장하는 함수

LONG RegSetValueEx(HKEY hKey, LPCTSTR lpValueName, DWORD Reserved,  DWORD dwType, CONST BYTE *lpData, DWORD cbData);


hKey :
값을 저장하고자 하는 키 핸들(현재 열려진 키)

lpValueName : 값의 이름

Reserved : 이 인수는 사용하지 않음

dwType : 값의 데이터 타입을 지정 (대부분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)

    - REG_BINARY : 이진 데이터

    - REG_SZ : 문자열

lpData : 저장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포인터

cbData : 데이터의 크기


저장한 위치의 값을 읽어오는 함수

LONG RegQueryValueEx(HKEY hKey, LPTSTR lpValueName, LPDWORD lpReserved,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LPDWORD lpType, LPBYTE lpData, LPDWORD lpcbData);


hKey :
값을 저장하고자 하는 키 핸들(현재 열려진 키)

lpValueName : 값의 이름

lpReserved : 이 인수는 사용하지 않음

lpType : 읽은 값의 타입을 대입받을 변수의 포인터

lpcbData : 실제 복사된 데이터의 크기를 리턴, 대입받을 변수의 크기를 대입

RegCreateKeyEx(), RegSetValueEx(), RegQueryValueEx() 이 함수들은 제대로 읽거나 저장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했다면 ERROR_SUCCESS(0)가 리턴 된다



열려진 레지스트리 키를 닫는 함수


 

LONG RegCloseKey(HKEY hKey);

레지스트리 키도 메모리를 소모하므로 사용하고 난 후에는 해제를 해야함



실습예제

#include <windows.h>
#include "resource.h"


BOOL CALLBACK DlgProc(HWND hDlg,UINT iMessage,WPARAM wParam,LPARAM lParam);

#define CURRENT HKEY_CURRENT_USER
#define KEY "SoftWare\\Bit\\Test\\"

 

int WINAPI WinMain(HINSTANCE hInstance, HINSTANCE hPrevInstance, LPSTR lpszCmdParam, int nShowcmd)
{
 DialogBox(hInstance,MAKEINTRESOURCE(IDD_DIALOG1),0,DlgProc);  

 return 0;
}

BOOL CALLBACK DlgProc(HWND hDlg,UINT iMessage,WPARAM wParam,LPARAM lParam)
{
 TCHAR str[256];
 HKEY key;
 DWORD dwDisp;
 DWORD Size;  //불러올때 사이즈

 switch(iMessage)
 {
 case WM_INITDIALOG:  break;
 
 case WM_COMMAND:

  switch(LOWORD(wParam))
  {
  case IDOK: //저장하기
   
   GetDlgItemText(hDlg, IDC_EDIT1, str, 256);
   RegCreateKeyEx(CURRENT, KEY"Edit",0,NULL, REG_OPTION_NON_VOLATILE, KEY_WRITE, 0,&key, &dwDisp);
   RegSetValueEx(key, "STR", 0, REG_SZ, (LPBYTE)str, strlen(str)+1);
   RegCloseKey(key);
   break;

  case IDOK2: //불러오기

   RegCreateKeyEx(CURRENT, KEY"Edit",0,NULL, REG_OPTION_NON_VOLATILE,KEY_READ,0, &key, &dwDisp);
   RegQueryValueEx(key, "STR", 0, NULL, (LPBYTE)str, &Size);
   MessageBox(hDlg, str, "", MB_OK);
   RegCloseKey(key);
   break;
  case IDCANCEL:
   EndDialog(hDlg,IDCANCEL);
   break;
  }

  return TRUE;
 
 }
 return FALSE;
}

'API & MFC > API & 시스템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리스트뷰  (0) 2010.02.03
WM_USER And WM_APP  (0) 2010.02.02
o/s의 role  (0) 2010.01.28
파일매핑예제  (0) 2010.01.25
WNDCLASS 구조체  (0) 2010.01.25
Posted by 아몰라

Blocking Model

퍼스널 컴퓨터에서 클라이언트가 접속해서 지속해서 데이터르 주고 받을때


Non-Blocking Model

AsyncSelec(윈도우), EventSelect  (콘솔,백그라운드)

퍼스널 컴퓨터에서 동작 시키고자 할 때 해당되는 소켓을 가지고 실질적으로 패킷을 주고 받는게

지속적으로 주고 받는게 아니라 단편적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

Overlapped I/O

이벤트 셀렉트처럼 사용  할 수 있다. 폴링에 관한 비용이 들지 않는다.


다수의 CPU를 가지고 있을 때 CPU를 최대한 사용 할 수 있다.
Contex Switching 발생이 하지 않는다.



1. Listen Thread + n개의 Thread(1 Client를 위해 1개의 Thread)

    - Personal Computer상에서 개인 용도의(중요도가 적은) Server를  운용할 때

    - Client와 Server간의 흐름이 지속적일 때

       *소켓 통신외에 다른 작업은 별도의 쓰레드에게 관리를 하자.

장점

     Client 1개와의 통신에 대한 논리만 생각할 수 있게 해 준다.

단점 

    쓰레드의 생성과 소멸에 대한 비용이 많이 든다.

    context/switching에 대한 비용이 많이 든다. 

 

 2. AsyncSelect

   - 소켓 통신외에 다른 작업이 병행되어야 할 경우

   - Client와 Server간의 흐름이 단발적일 때 

   - 해당 쓰레드에 메시지를 받을 수 있는 window가 존재할 때 

      *눈에 보이지 않는 빈껍데기 msessage window여도 상관 없음 

장점

     소켓 통신을 위한 별도의 쓰레드 자원을 사용하는 비용이 필요없다.

     받은 패킷 종류에 따라 나누어서 해당 패킷에 대해서 작성을 해 나갈 수 있다.

단점  

    패킷 처리에 드는 비용이 많이 드는 경우에 비효율적이 될 수 있다.    

   받은 패킷 종류에 따라 나누어서 해당 패킷에 대해서 작성을 하지 않으면 비효율적이 될 수 있다.

    다수의 CPU를 장착한 시스템에서 모든 CPU를 사용하지 않게 된다. 

 

3. EventSelect

   - 소켓 통신외에 다른 작업이 병행되어야 할 경우

   - Client와 Server간의 흐름이 단발적일 때 

   - 해당 쓰레드에 메시지를 받을 수 있는 window가 존재하지 않을 때 

장점

     소켓 통신을 위한 별도의 쓰레드 자원을 사용하는 비용이 필요없다.

     받은 패킷 종류에 따라 나누어서 해당 패킷에 대해서 작성을 해 나갈 수 있다.

단점  

    패킷 처리에 드는 비용이 많이 드는 경우에 비효율적이 될 수 있다.    

    어느 정도의 Polling이 따르게 된다. 

   받은 패킷 종류에 따라 나누어서 해당 패킷에 대해서 작성을 하지 않으면 비효율적이 될 수 있다.

    다수의 CPU를 장착한 시스템에서 모든 CPU를 사용하지 않게 된다. 

 

4. Overlapped I/O

    - Personal Computer상에서 Server를  운용할 때

    * 소켓 통신외에 다른 작업이 병행되어야 될 경우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거나 다른 방법을 찾아보자.

 

장점

     소켓 통신을 위한 별도의 쓰레드 자원을 사용하는 비용이 적게 든다.

     비동기 소켓 통신이기 때문에 많은 client에 많은 패킷 흐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. 

단점  

    다수의 CPU를 장착한 시스템에서 모든 CPU를 사용하지 않게 된다. 

  

5. IOCP

    - Server System에 O/S가 Windows O/S일 경우

    - 다른 응용이 동작할 개연성이 매우 적을 경우 

장점

    다수의 CPU를 장착한 시스템에서 모든 CPU를 Full로 사용할 수 있다.

단점  

    CPU를 사용하는 다른 응용이 많을 경우 큰 이득이 없다.




출처 http://cafe.daum.net/sbehclub

'API & MFC > 네트워크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EventSelect란?  (0) 2010.02.05
ASyncSelect 예제  (1) 2010.02.04
소켓함수 예제(로그인서버)  (0) 2010.01.25
소켓통신(함수정리)  (1) 2010.01.18
OSI 모델 And Ip계층  (0) 2010.01.18
Posted by 아몰라
1. 스케줄러

2. MMU 메모리 매핑 유닛

3. Interrupt 관리  - 하드웨어 관리

App > Shell > O/S > Kernel

O/S(Kernel) - 컴퓨터 시스템의 핵이다.


4. NetWork

'API & MFC > API & 시스템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WM_USER And WM_APP  (0) 2010.02.02
레지스트리  (0) 2010.02.02
파일매핑예제  (0) 2010.01.25
WNDCLASS 구조체  (0) 2010.01.25
스레드의 함정  (0) 2010.01.25
Posted by 아몰라

#pragma comment(lib , "dll.lib")
#include "Packet.h"
#include "Channel.h"
#include <stdio.h>


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
typedef struct MemberInFo
{
 char *Id;
 char *Pass;
 char *Name;
 int Idlen;
 int Passlen;
 int Namelen;
 int C_Port;
 int SmsPort;
 int FilePort;
 LONG C_Ip;
}MemberInFo;

MemberInFo * member = new MemberInFo();

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


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

void Load(); //Log서버 초기화 후 대기
DWORD WINAPI Send(LPVOID temp); //Login 과 Logout에게 DB서버 정보 전송

void LoginReq(Packet * pack, MsgHead msg, SOCKET sock_Log, SOCKET sock_Db);
void LoginPack(SOCKET sock_Db); //로그인 팩
void LoginUnPack(Packet * pack); //로그인 언팩

void LogoutReq(Packet * pack, MsgHead msg, SOCKET sock_Db); 

int SearchAck(SOCKET sock_Log); //DB로부터 값을 받아서 리턴
void SetState();    //아이디가 있을경우 State 서버로 회원포트정보 등 전송
void SendState(Packet *Pack); //State 서버 초기화

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

 

int main()

 WSADATA wsaData;
 WSAStartup(MAKEWORD(2,2), &wsaData);
 
 
 
 AllocConsole();
 freopen("conout$","wt",stdout);

 while(1)
 {
  Load();
 } 


 WSACleanup();

 
 delete member;

 return 0;
}


void Load()
{
 DWORD ThreadID;
 SOCKET sock_Log = OpenSocket(LOGSV_IP_ADDR, S_LOG);
 SOCKADDR_IN clientaddr={0,};
 int len = sizeof(clientaddr);
 
 
 SOCKET dosock;

 while(1)
 {
  printf("대기중\n");
  dosock = accept(sock_Log,(SOCKADDR *)&clientaddr,&len); 
  CloseHandle(CreateThread(NULL,0,Send,(LPVOID)dosock,0,&ThreadID));

 }
 closesocket(dosock);
 closesocket(sock_Log);

}

 

DWORD WINAPI Send(LPVOID temp)
{
 SOCKET sock_Log = (SOCKET)temp;
 
 MsgHead msg(sock_Log);  // Msgid 와 Bodylen을 가져온다.  4 + 4
 Packet * pack = new Packet(sock_Log, msg.Getblen()); //  Bodylen 만큼 데이터를 가져온다
 printf("%d", msg.GetMsgid());
 int msgid = msg.GetMsgid();
 
 SOCKET sock_Db = OpenSocket(DBM_IP_ADDR, S_DBM,0);  //Db 와의 연결
 

 switch(msgid)
 {
 case LOGIN: LoginReq(pack, msg, sock_Log, sock_Db); break;
 case LOGOUT: LogoutReq(pack, msg, sock_Db); break;
 default: break;
 }

 
 closesocket(sock_Log); 


 return 0 ;
}

 

void LoginReq(Packet * pack, MsgHead msg, SOCKET sock_Log, SOCKET sock_Db)
{
 int Ack;

 LoginUnPack(pack);
 LoginPack(sock_Db);

 
 if((Ack = SearchAck(sock_Db)))
 {
  send(sock_Log, (char*)&Ack, sizeof(int), 0);
  SetState();
  closesocket(sock_Log);
 }
 else
 {
  send(sock_Log, (char*)&Ack, sizeof(int), 0);
  closesocket(sock_Log);
 }
 
 delete pack;
 closesocket(sock_Db);
}


void LoginUnPack(Packet * pack)
{
 pack->UnPack(&member->Idlen, sizeof(member->Idlen));
 member->Id = new char[member->Idlen];
 pack->UnPack(member->Id, member->Idlen);
 pack->UnPack(&member->Passlen, sizeof(member->Passlen));
 member->Pass = new char[member->Passlen];
 pack->UnPack(member->Pass, member->Passlen);
 pack->UnPack(&member->C_Ip, sizeof(member->C_Ip));
 pack->UnPack(&member->C_Port, sizeof(member->C_Port));
 pack->UnPack(&member->SmsPort, sizeof(member->SmsPort));
 pack->UnPack(&member->FilePort, sizeof(member->FilePort));

 printf("ID:%s, Pass:%s, IP:%d, C_Port:%d, SPort:%d, FPort:%d", member->Id, member->Pass, member->C_Ip, member->C_Port, member->SmsPort, member->FilePort);
}


void LoginPack(SOCKET sock_Db)
{
 MsgHead msg2(LOGIN);

 int bodysize = sizeof(member->Idlen) + member->Idlen + sizeof(member->Passlen) + member->Passlen;

 msg2.SetBlen(bodysize);
 
 Packet * pack2 = new Packet();
 
 pack2->Pack(&msg2, sizeof(MsgHead));
 pack2->Pack(&member->Idlen, sizeof(member->Idlen));
 pack2->Pack(member->Id, member->Idlen);
 pack2->Pack(&member->Passlen, sizeof(member->Passlen));
 pack2->Pack(member->Pass, member->Passlen);
 
 pack2->Send(sock_Db);

 delete pack2;
}

 

void LogoutReq(Packet * pack, MsgHead msg, SOCKET sock_Db)
{

 pack->RePack(&msg, sizeof(MsgHead)); 
 
 pack->Send(sock_Db);
 
 SendState(pack);
 
 
 delete pack;
 closesocket(sock_Db);

 
}

 

int SearchAck(SOCKET sock_Log)  //db로부터 받은 True False 반환!
{
 int re;

 recv(sock_Log, (char*)&re, sizeof(int),0);
  
 printf("\n%d", re);
 
 
 return re;
}

 

void SetState()
{
 MsgHead msg(LOGIN);

 int bodysize = sizeof(member->Idlen) + member->Idlen + sizeof(member->C_Ip) + sizeof(member->C_Port) + sizeof(member->SmsPort) + sizeof(member->FilePort);

 msg.SetBlen(bodysize);
  
 Packet * pack = new Packet();
 
 pack->Pack(&msg, sizeof(MsgHead));
 pack->Pack(&member->Idlen, sizeof(member->Idlen));
 pack->Pack(member->Id, member->Idlen);
 pack->Pack(&member->C_Ip , sizeof(member->C_Ip));
 pack->Pack(&member->C_Port, sizeof(member->C_Port));
 pack->Pack(&member->SmsPort, sizeof(member->SmsPort));
 pack->Pack(&member->FilePort, sizeof(member->FilePort));

 printf("SetState : %d, %d\n",member->C_Ip,member->C_Port);

 
 SendState(pack);

 delete pack;
}

void SendState(Packet *Pack)
{
 SOCKET sock_State = OpenSocket(STATESV_IP_ADDR, S_STATE,0);  //스테이트 서버와 연결

 Pack->Send(sock_State);

 closesocket(sock_State);
}

'API & MFC > 네트워크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EventSelect란?  (0) 2010.02.05
ASyncSelect 예제  (1) 2010.02.04
소켓통신의 라이브러리 사용 선택 시 고려사항  (0) 2010.02.02
소켓통신(함수정리)  (1) 2010.01.18
OSI 모델 And Ip계층  (0) 2010.01.18
Posted by 아몰라

- 파일 오픈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hF=CreateFile("test.txt")

- 파일 내용을 메모리에 올린다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hMapF=CreateFileMapping(hF)

- 메모리에 올려진 첫번째 주소를 얻는다.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pF=MapViewOfFile(hMapF)

- 첫번째 주소로 메모리 내용을 조작한다.

- 중간중간에 변경된 내용을 강제로 디스크에 쓰게만든다.    FlushViewOfFile(pF)

- 해제.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UnmapViewOfFile(pF);

- 해제.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CloseHandle(hMapF);

- 파일 닫기.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CloseHandle(hF);

<예제>

#include <windows.h>
#include <stdio.h>

 

int main(int argc, char *argv[])
{
 HANDLE hF, hMapF;
 DWORD fSize, i;
 char *pF, *pFtmp;

 

 hF=CreateFile("test.txt",GENERIC_READ|GENERIC_WRITE, 0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NULL, OPEN_EXISTING, FILE_ATTRIBUTE_NORMAL, NULL);

 

 fSize=GetFileSize(hF,NULL);

 

 hMapF=CreateFileMapping(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hF,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//file handle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NULL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PAGE_READWRITE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0,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//file size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0,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//file size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NULL);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//map name
 if(hMapF==NULL)
 {
  printf("CreateFileMapping() fail");
  CloseHandle(hF);
  return 1;
 }


 pF=MapViewOfFile(hMapF,FILE_MAP_ALL_ACCESS,0,0,0);
 
 pFtmp=pF;

 for(i=0;i<fSize;i++)
 {
  *pFtmp=(*pFtmp+1);
  pFtmp++;
 }

 

 //메모리 내용을 강제로 파일에 쓴다.
 FlushViewOfFile(pF, 0);

 

 UnmapViewOfFile(pF);

 CloseHandle(hMapF);

 CloseHandle(hF);


 return 0;
}





Share Memory를 만드는 프로세스:

CreateFileMapping->MapViewOfFile->UnmapViewOfFile->CloseHandle


Share Memory를 Open하는 프로세스:

OpenFileMapping->MapViewOfFile->UnmapViewOfFile->CloseHandle

 

<예제>

<공유메모리를 만들고 공유메모리에 데이터를 써넣는 프로그램>

#include <windows.h>
#include <stdio.h>

#pragma pack(1)

typedef struct tag_SMTEST
{
 char c;
 int  i;
 short s;
} SMTEST;


int main(int argc, char *argv[])
{
 HANDLE hMapF;
 SMTEST *psm;

 

// JJBSMTEST라는 이름으로 공유메모리를 만든다.

 hMapF=CreateFileMapping(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INVALID_HANDLE_VALUE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NULL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PAGE_READWRITE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0,   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sizeof(SMTEST),   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"JJBSMTEST");   
 if(hMapF==NULL)
 {
  printf("CreateFileMapping() fail");
  return 1;
 }
 psm=(SMTEST *)MapViewOfFile(hMapF,FILE_MAP_ALL_ACCESS,0,0,sizeof(SMTEST));
//이후부터 psm 포인터만 읽으면 파일의 내용을 자유롭게 액세스할 수 있다. 
// 파일이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에 맵되어 있으므로 포인터를사용하면 연결된 파일의 원하는 부분을 읽을 수 있다.

 psm->c='a';
 psm->i=100;
 psm->s=10;

 

//아래 프로그램을 실행할수있게 시간을 주자

 Sleep(10000);
 
 UnmapViewOfFile(psm);

 CloseHandle(hMapF);

 return 0;
}

  

<예제>

<공유메모리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로그램.>

#include <windows.h>
#include <stdio.h>

#pragma pack(1)

typedef struct tag_SMTEST
{
 char c;
 int  i;
 short s;
} SMTEST;


int main(int argc, char *argv[])
{
 HANDLE hMapF;
 SMTEST *psm;

// JJBSMTEST라는 이름으로 공유메모리에 접근한다.

 hMapF=OpenFileMapping(FILE_MAP_ALL_ACCESS, FALSE, "JJBSMTEST");
 
 if(hMapF==NULL)
 {
  printf("OpenFileMapping() fail");
  return 1;
 }
 psm=(SMTEST *)MapViewOfFile(hMapF,FILE_MAP_ALL_ACCESS,0,0,sizeof(SMTEST));

 

 //공유메모리에 설정된 내용을 출력한다.
 printf("c:%c i:%d, s:%d\n",psm->c,psm->i,psm->s);
 
 UnmapViewOfFile(psm);

 CloseHandle(hMapF);

 return 0;
}

<예제> 파일을 메모리에 올려놓고 마음대로 불러다 쓴다.

typedef struct Member
{
 char Id[256];
 char name[256]; 
}Member;


Member * member;
Member mem[1000];

void Init()
{

 int i=0;
  
 for(i=0; i<1000; i++)
 {
  strcpy(mem[i].Id,   "22");
  strcpy(mem[i].name,   "22");
 }
}


void FileSet()
{
 DWORD dwWritten;
 
 
 hFile = CreateFile("c:\\jinyong.dat", GENERIC_WRITE, 0, NULL, CREATE_NEW, FILE_ATTRIBUTE_NORMAL, NULL);
 
 if(hFile!=INVALID_HANDLE_VALUE)
 {
  WriteFile(hFile, mem, sizeof(Member)*1000, &dwWritten, 0);
 }
 
 CloseHandle(hFile);
}


void Mapping()
{
 HANDLE hFile2;

 int i=0;
 hFile2 = CreateFile("c:\\jinyong.dat", GENERIC_READ | GENERIC_WRITE, 0, NULL, OPEN_EXISTING, 0, 0);
 if(hFile2 != INVALID_HANDLE_VALUE)
 {
  hMap = CreateFileMapping(hFile2, NULL, PAGE_READWRITE, 0, 0, NULL);
  member = (Member *)MapViewOfFile(hMap, FILE_MAP_ALL_ACCESS, 0, 0, 0);
 }
 printf("%s\n",member[2].Id);
 printf("%s\n",member[3].name);

}
 

'API & MFC > API & 시스템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레지스트리  (0) 2010.02.02
o/s의 role  (0) 2010.01.28
WNDCLASS 구조체  (0) 2010.01.25
스레드의 함정  (0) 2010.01.25
스레드  (0) 2010.01.24
Posted by 아몰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