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토해양부가 ‘한국판 구글 어스’를 만든다는 목표로 민간에 공간정보를 대대적으로 제공하는 등 공간정보 유통 체계를 전면 혁신한다.
28일 국토해양부는 이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하는 공간정보 유통 체계 개편안을 발표했다.
국토부는 오픈 API(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ce) 방식을 도입한다. API를 개방해 개발자들이 이를 활용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등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게 한다. 단순히 정보를 개방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자원과의 융합도 도모한다. 예를 들면 주요 포털 사이트는 국토부의 공간정보를 자사의 관련 서비스와 융합한 비즈니스모델을 만들어 서비스할 수 있다.
국토부는 또 서울·부산·제주 등 9개 지역별로 분산·운영중인 지리정보유통망을 서울 공간정보 센터 중심으로 일원화해 운영 효율성도 높인다.
민간에 지리정보유통망 시스템도 개방한다. 민간기업은 직접 제작한 맛집정보·내비게이션 지도·항공사진 등 공간정보를 정부 유통망을 활용해 판매해 수익을 올릴 수 있다.
정부에서 제공하는 공간정보의 가격은 단계적으로 인하할 계획이며 민간에서 제작한 공간정보는 해당 기업이 자유롭게 가격을 책정할 수 있게 한다.
이는 국내 공간정보 유통체계가 선진국에 비해 낙후해 관련 산업발전의 암초라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.
실제로 미국은 지오데이터(geodats)를 캐나다는 지오커넥션즈(GeoConnections)를 유럽은 인스파이어(Inspire)를와 같은 포털 서비스를 마련 공공과 민간이 자유롭게 공간정보에 접근케 해 구글어스와 같은 서비스 창출의 토대를 지원한다.
국토부 관계자는 “다양한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해 한국에서도 구글, MS 등 외국 대형 포털과 같은 기업을 육성할 계획”이라고 각오를 밝혔다.
정진욱기자 coolj@etnews.co.kr

○ 신문게재일자 : 2010/03/29


Posted by 아몰라

각 칸에는 최대 여덟 개의 인접한 칸이 있을 수 있다. 아래에서 왼족에 있는 4*4지뢰밭에는 두 개가 있으며 각각은 '*'문자로 표시되어 있다. 이 지뢰밭을 방금 설명한 힌트 숫자로 표기하면 오른쪽에 있는 것과 같은 필드가 만들어진다.


입력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출력
4 4 
*...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*100
....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2210
.*..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1*10
....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1110




일단 허접한 알고리즘으로 하긴했는데

두가지 문제점이 있다.

1. 해당 값이 * 일 경우 주변 값도 * 이면 *에 +1을 하지 못하도록 하여야한다.

2. 위에서 . * .
         -> . . . 가장 왼쪽에 점의 경우에 그 점이 지뢰라고하면 그 주위에 값들이 +1을 하게 알고리즘이 구성되었는데 저 위치 같은 경우에는 왼쪽에 아무것도 없는 벽이라는것을 표현해줘야한다. 그것이 안되어서 상단 오른쪽에 값이 엉뚱하게 들어가 버린다.


             . * .

'프로그래밍 기초 > 자료구조 & 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LCD 디스플레이  (0) 2010.05.13
여행(The Trip)  (0) 2010.05.11
3n+1  (0) 2010.05.03
스케줄링 (라운드 로빈)  (0) 2009.12.17
병합정렬 & 퀵 정렬 비교 및 기수정렬  (0) 2009.12.17
Posted by 아몰라

이러한 알고리즘이 있다.

n= 10 이면

10 ,5, 16, 8, 4, 2, 1    cnt = 7 (사이클길이)

짝수이면 n/2 로 나누고 , 홀수이면 3n+1 로 한다.

이 알고리즘을 적용을하면 결국에 n 은 1에 이르게 된다.

이 가설은 적어도 1000000까지의 정수에 대해서는 참이라고 한다.


이제부터 문제다.

어떠한  두 정수를 입력받는다.

0~1000000까지만 값을 입력받을수 있도록 하고

예를 들어 1 , 10 을 입력받는다 그러면 1 ~10 사이에 대해 최대 사이클 길이를 구하면 된다.

입력예     출력 예
1 10        1 10 20
100 200   100 200 125


먼저 입력 받는 수를 a와 b 라고 하고 a에 대한 알고리즘을 구했고 그 다음에 a+1 에 대한 결과와 비교하고

또 a+1과 계속 비교해가면서 b까지 비교해서 가장 큰 최대사이클을 구하는 방식으로 하였다.

생각보다 알고리즘 문제 재밌는거 같다 ㅋㅋㅋ

'프로그래밍 기초 > 자료구조 & 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여행(The Trip)  (0) 2010.05.11
지뢰찾기  (0) 2010.05.03
스케줄링 (라운드 로빈)  (0) 2009.12.17
병합정렬 & 퀵 정렬 비교 및 기수정렬  (0) 2009.12.17
연결리스트더미有  (0) 2009.12.16
Posted by 아몰라